알림마당

+
  • 2025-11

    27

    재단소식 미생물센터 [보도자료] “산업현장 그대로 재현” 미생물실증지원센터, 바이오의약품 전문교육 호평

    [첨부] 20251127 '산업현장 그대로 재현'...PCMO 바이오의약품 전문교육 호평.hwp[첨부] 20251127 '산업현장 그대로 재현'...PCMO 바이오의약품 전문교육 호평.pdf- 전국 대학생·취준생 40명 참여…배양·정제 생산 공정 실습- 교육생 만족도 90% 이상…실무 중심 프로그램 호응도 높아▲ 발효기 장비 설명 및 배양 공정 교육 모습전남 화순 미생물실증지원센터(PCMO, 센터장 조민)는 한국보건복지인재원과 공동으로 ‘백신(바이오의약품) 개발 공정 이해 및 실습’ 교육을 11월 10일부터 12일(1회차), 24일부터 26일(2회차) 총 2회에 걸쳐 실시했다고 밝혔다.이번 교육은 급성장하는 국내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전문 인력 수요에 대응하고, 실제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실무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기획됐다. 전국 각지의 생명공학, 제약공학 등 관련 전공 대학생 및 취업 준비생 40명이 참여했으며, 제조부터 품질관리까지 전 공정을 다루는 실습 중심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교육 과정에는 ▲GMP(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제조소 투어 ▲GMP 문서관리 이론 교육 ▲배양·정제 공정 VR(가상현실) 체험 ▲원료 칭량 및 배지 조제 등 배양 실습 ▲버퍼 조제 등 정제 실습 ▲이화학·미생물 시험 등 실제 생산 환경을 반영한 단계별 실습이 포함돼, 단순히 이론 전달을 넘어 바이오의약품 제조 흐름을 현장감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이화학·미생물 시험 실습 현장특히 이번 교육에서는 바이오의약품 품질관리(QC) 시험 중 하나인 단백질 정량 시험 실습도 진행됐다. 교육생들은 시약과 표준물질을 활용해 시료의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고 결과를 수치로 해석하는 과정을 직접 수행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품질 시험 결과가 바이오의약품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근거임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다.실습 교육에 참여한 대학생 이O진 씨는 “학교에서 배운 이론이 실제 산업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확인할 수 있어 매우 유익했다"고 소감을 전했다. 또 다른 교육생 박O은 씨는 "현직 전문가들과 직접 소통하며 의약품 산업 트렌드와 필요한 역량에 대해 들을 수 있었던 점이 가장 인상 깊었다"며 "앞으로 준비해야 할 방향이 뚜렷해졌다”고 말했다.▲ GMP 품질관리 이론 교육 모습모든 교육은 센터의 현직 전문가들이 직접 진행했으며, 공정별 질의응답 시간을 충분히 배정해 교육생들의 이해도를 높였다. 또한 GMP 운영 환경에서 실제 사용되는 장비와 시설을 제공함으로써, 만족도 조사에서도 교육생 92%가 교육 커리큘럼이 현업 이해와 취업 준비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는 등 높은 긍정 평가로 이어졌다.미생물실증지원센터는 앞으로도 정기적인 교육 프로그램 운영, 산업체 맞춤형 기술 과정 운영, 국제 수준의 GMP 실습 인프라 제공 등을 통해 국내 바이오산업의 인력양성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 2025-11

    17

    재단소식 미생물센터 [보도자료] ‘의약품 제조부터 품질관리까지’···미생물실증지원센터,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교육 성료

    [첨부] 20251107 [보도자료] ‘의약품 제조부터 품질관리까지’...미생물실증지원센터,‘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교육 성료.hwp[첨부] 20251107 [보도자료] ‘의약품 제조부터 품질관리까지’...미생물실증지원센터,‘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교육 성료.pdf- 11월 5일~11월 7일 백신(바이오의약품) 제조·품질관리 교육 진행- 미생물·이화학 시험 및 배양·정제 공정 과정…실무 중심 프로그램 운영▲ QC 실습 중 단백질 정량 시험 현장전남 화순 미생물실증지원센터(PCMO, 센터장 조민)는 국제백신연구소(IVI)가 주관한 ‘2025 백신(바이오의약품) 품질관리 기본 교육(GxP 과정)’의 연수생을 대상으로 지난 11월 5일부터 7일까지 사흘간 현장 실습을 시행했다고 밝혔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센터가 시행한 이번 실습 교육은 전 세계 40개국 200여명의 GxP과정 연수생 중 16개국 25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이번 교육은 세계보건기구(WHO)가 감염병 대응력 강화를 위해 추진 중인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GTH-B)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올해 진행된 교육을 통해 센터는 백신 생산 공정과 품질관리 분야에서 국제 수준의 실습 환경을 다시 한번 확인 받았다.▲ 교육관 내 정제 실습실 투어 모습교육과정은 강화된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cGMP)을 주제로 진행됐으며, 이론 강의와 실습을 병행해 이해를 도왔다. 주요 프로그램은 ▲cGMP 제조소 투어 ▲제조공정 실습 ▲QC(품질관리) 이화학 시험 ▲배양·정제 가상현실(VR) 체험 등으로 구성돼, 교육생들이 바이오 의약품 생산의 전 과정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운영됐다.▲ 교육생 단체 기념사진특히 이번 교육에선 미생물 및 이화학 시험에 대한 실습을 중심으로 진행했다. 교육생들은 의약품 제조 환경의 청결도와 수질을 점검하는 모니터링 실습을 통해, 백신의 품질을 유지하는 관리 절차를 수행하며 익혔다. 또한, 세포은행(Cell Bank)에서 시작해 발효기 운전, 센서 교정, 배양 시료 채취까지 의약품 생산의 전 과정을 단계별로 수행하며 공정 이해도를 높였다.미생물실증지원센터 대외협력팀 송진영 팀장은 "이번 교육으로 바이오 의약품 생산 및 품질관리 분야에서 글로벌 협력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도 국제기구 및 관계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백신 산업 인재 양성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미생물실증지원센터 전경한편, 센터는 지난 7월 호남권 최대 규모의 교육관을 개관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나섰다. 현재 교육관엔 바이오의약품 제조와 시험 과정을 실습할 수 있는 장비가 구축되어 있으며, 학생들과 업계 관계자들의 교육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향후 센터는 지역 바이오 산업의 핵심 인력양성 거점으로 성장해 나갈 예정이다. 언론사주소아시아경제https://www.asiae.co.kr/article/2025111717494190488의학신문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62886약업신문http://m.yakup.com/news/?cat=12cat2=121cat3=0mode=viewnid=319022화순매일신문https://www.hsmaeil.co.kr/477236시사종합신문http://sisatotalnews.com/article.asp?aid=1763371762412528022#google_vignette네이트뉴스https://news.nate.com/view/20251117n12188전남타임스https://www.jn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68714에이빙 뉴스https://kr.aving.net/news/articleView.html?idxno=1806148한국시사경제https://www.hksisaeconomy.com/news/article.html?no=981064전자신문https://m.etnews.com/20251117000183?obj=Tzo4OiJzdGRDbGFzcyI6Mjp7czo3OiJyZWZlcmVyIjtOO3M6NzoiZm9yd2FyZCI7czoxMzoid2ViIHRvIG1vYmlsZSI7fQ%3D%3D뉴스코리아https://www.newskorea.ne.kr/news/articleView.html?idxno=17920케이에스피 뉴스https://www.kspnews.com/2440492핀포인트뉴스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96376한국강사신문https://www.lecturer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0916메디파나뉴스https://www.medipana.com/news/articleView.html?idxno=402079

  • 2025-11

    12

    재단소식 미생물센터 [보도자료] 미생물실증지원센터-국립목포대학교, 전남 바이오 인재양성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첨부] 20251111 [보도자료] 미생물실증지원센터-국립목포대학교, 전남 바이오 인재양성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hwp[첨부] 20251111 [보도자료] 미생물실증지원센터-국립목포대학교, 전남 바이오 인재양성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pdf- 전남 바이오산업 발전과 전문인력 양성 위해 산학 협력 맞손▲ 미생물실증지원센터 전경전남 화순 미생물실증지원센터(PCMO, 센터장 조민)는 지난 11월 10일 국립목포대학교 RISE사업단(단장 송하철)과 지역 바이오산업 발전 및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협약은 양 기관이 보유한 연구 인프라와 전문 역량을 연계하여 지역 바이오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인력양성 체계 구축을 도모하기 위한 상생 협력의 일환으로 추진됐다.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전라남도 RISE 사업 운영 협력 ▲전문 인력 양성 노하우 공유 ▲교육 과정 및 커리큘럼 연계 ▲공동연구개발 및 기술실증 협력 ▲연구장비·시설을 활용한 공동실험 및 분석 지원 ▲연구성과의 지식재산권 확보 및 기술이전·사업화 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협력하기로 약속했다.미생물실증지원센터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산학연관 협력을 지속 확대해 전라남도 바이오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이끌어갈 방침이다. 특히 공동연구개발과 기술 실증으로 지역 바이오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국립목포대학교 전경국립목포대학교 RISE사업단은 향후 전남 바이오·의약 산업의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산학연관 교류 확대, 정책 및 연구개발 정보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한편, 미생물실증지원센터는 지역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해 현장 중심의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고, 전남 바이오산업의 혁신을 위한 다양한 협력 모델을 발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센터는 지난 7월 광주·전남권 최대 규모의 GMP 실습 교육관을 개관해 미생물 배양부터 정제, 품질관리까지 전 공정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최신 실습 환경을 마련했다. 언론사주소약업신문https://www.yakup.com/news/?cat=12cat2=121cat3=0mode=viewnid=318777전자신문https://www.etnews.com/20251112000104핀포인트뉴스https://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94744히트뉴스https://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0861네이트뉴스https://news.nate.com/view/20251112n16576파이낸셜경제https://www.fnewstv.com/news/newsview.php?ncode=1065583235762063아시아경제https://www.asiae.co.kr/article/2025111211572021833e대학저널https://dhnews.co.kr/news/view/1065579775977006시사종합신문http://sisatotalnews.com/article.asp?aid=1762926808411866022뉴스워커https://www.newswor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2407진일보https://www.j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90000012956대한뉴스통신https://www.xn--vg1bjkn41b4ga219dh6e.kr/45757서울파이낸스https://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612337뉴스포털https://www.civilreporter.co.kr/news/articleViewAmp.html?idxno=530662전남타임스https://www.jn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68417

SUPPORT SERVICE

(재)백신글로벌산업화기반구축사업단의 주요 추진사업입니다.
백신 산업화 기업지원 이미지

백신 산업화 기업지원

백신 GMP 제조시설을 활용한 백신 기업의
공정개발 및 임상·비임상 시료 생산 지원

백신산업 전문인력 양성 이미지

백신산업 전문인력 양성

글로벌 실무능력과 전문성을 갖춘
백신산업 전문인력 양성

mRNA 백신 실증지원 기반구축 이미지

mRNA 백신 실증지원 기반구축

mRNA 백신 상용화를 위한
시설과 장비를 구축하여 기업지원

백신 위탁개발생산(CDMO) 이미지

백신 위탁개발생산(CDMO)

글로벌 GMP에 적합한 동물세포 및
미생물기반 임상용 백신 생산을 대행

+

STORY

세계 5대 백신강국 실현, 글로벌 백신 산업화 허브 (재)백신글로벌산업화기반구축사업단

신종플루, 메르스, 코로나-19 등 주기적으로 팬데믹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전염병 예방을 위한 백신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국내 중소기업들이 백신 개발에 성공하고 우리나라가 백신 강국이 될 수 있도록
재단 임직원들은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
story 이미지

LOCATION

(재)백신글로벌산업화기반구축사업단의 위치 안내입니다.
위치 아이콘

사무국 위치 안내

경북 안동시 풍산읍 산업단지1길 48-27, 2층

상세 안내 보기